우주 만물의 근원. 소멸과 생성을 거듭하는 우주의 이치를 의미하는 태극
태극 3장
품새 태극의 동작은 우주 철학의 근본 원리를 나타내며 태극의 음과 양의 진리를 응용해 엮어졌습니다. 그중에서도 태극 3장은 태극 8괘 중 ‘이(離)’를 나타내며 뜨거움, 밝음, 활기를 의미하는 불을 상징합니다. 초급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태극 3장에서는 안정적인 중심이동방법과 조화로운 신체의 움직임을 익히고 민첩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핵심 동작
태극 3장은 손날 안치기, 손날 (몸통)바깥막기, 뒷굽이, 두 번 지르기 이렇게 4개의 핵심 동작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태극 3장의 핵심 동작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손날 안치기
동작 설명에 앞서 우선 손날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손날의 부위는 손목부터 새끼손가락 첫마디까지를 사용하면 됩니다. 우선 손을 펴서 집게 손가락부터 새끼 손가락까지 네 손가락을 붙이고 엄지 손가락 끝마디를 구부려 집게 손가락 첫째 마디 아래부위에 붙여주면 됩니다. 그런 다음 끝마디는 약간 안으로 구부립니다.
이렇게 손날을 만드셨다면 치는 팔에 손목을 어깨높이에, 보조하는 팔은 명치 높이에 올려줍니다. 그런 다음 몸통을 약간 비틀어 양 팔꿈치를 몸쪽으로 당기듯이 손날 안치기 동작을 수행해주면 됩니다. 손날 안치기 동작까지 진행했다면 보조하는 손을 허리로 회수하면 됩니다. 이때 치는 팔의 손목은 곧게 펴주고 손날의 높이는 목 정도에 위치합니다.
손날 (몸통)바깥막기
앞서 설명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손날을 사용하는 동작입니다. 몸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막는 기술이며 가슴앞에서 두팔을 교차하며 시작합니다. 두팔이 교차될 때 막는 팔은 바깥쪽에 보조하는 팔은 안쪽에 위치하면 됩니다. 막았을 때 막는 팔의 손끝은 어깨보다 높아야하며 팔꿈치는 아래로 향해야 합니다. 이때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손날은 몸통의 끝선 밖으로 나가지 않아야 합니다.
뒷굽이
동작을 취할때 두 팔의 내각은 90도, 두 무릎과 두발에 방향은 각각 같아야 합니다. 중심은 뒤쪽은 3분의 2지점에 둡니다. 왼발을 한걸음 길이로 내딛으며 주춤서기를 할 때와 같이 낮추어 서면 됩니다.
두 번 지르기
이름 그대로 2번 연속해 지르는 동작으로 호흡을 조절하며 양팔의 팔꿈치를 허리로 당기듯이 빠르게 지르기 동작을 수행합니다. 이때 두 팔에 작용하는 힘과 속도는 균형있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렇게 태극 3장의 4개 핵심 동작을 알아봤습니다.
단락 별 설명
태극 3장 1단락의 동작
1. 왼 아래(내려)막기
2. 오른 앞차기 + 두 번 지르기
3. 오른 아래(내려)막기
4. 왼 앞차기 + 두 번 지르기
5. 오른 손날 안치기
6. 왼 손날 안치기
오른발 앞차기를 진행할 때에는 탄력을 이용하여 다리를 접고 앞축으로 지면을 먼저 딛습니다. 그런 다음 뒤축이 지면에 닿을 때 호흡과 함께 빠르게 오른 지르기 동작을 이어줍니다. 두 번 지르기 동작은 빠르게 연결하는게 중요합니다. 호흡을 조절하며 불필요한 힘을 빼고 몸통의 회전을 이용하면 빠른 연결이 가능합니다. 돌아 딛기를 수행할 때에는 앞쪽 발을 지면을 밀어 뒤쪽 발로 체중을 이동하고 자연스럽게 돌아 딛도록 합니다. 왼 앞서기 오른 안치기에서 앞으로 한걸음 중심을 이동할 때에는 왼손을 뒤로 이동하여 어깨보다 손 하나 정도 위에 위치하고 오른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폈다가 오른발을 한걸음 내딛으며 오른 앞서기 왼 손날 안치기를 합니다. 이때 오른쪽 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폈다가 오른 팔꿈치를 허리로 당겨 안치기를 해줍니다.
태극 3장 2단락의 동작
1. 왼손날 바깥막기
2. 오른 (몸통)지르기
3. 오른 손날 바깥막기
4. 왼 (몸통)지르기
5. 오른(몸통)안막기
6. 왼(몸통)안막기
손날 바깥막기 동작에서 손날은 쳐서 막기 위함도 있지만 상대를 잡기 위함도 있습니다. 오른 뒷굽이에서 오른발로 지면을 밀면서 왼발을 한발 반정도 앞으로 내딛습니다. 그러면서 왼 앞굽이로 전환하면 됩니다. 체중을 왼발로 옮기면서 왼발에 뒤축을 들어 압축을 축으로 뒤꿈치를 돌리며 오른발을 옮겨 디뎌 왼 뒷굽이를 완성합니다. 왼 앞서기 오른 안막기에서 앞으로 중심을 이동할 때에는 왼손을 뒤로 이동하여 어깨보다 주먹 하나 정도 위에 위치하고 오른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펴는 예비 동작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오른팔은 자연스럽게 앞으로 폈다가 한걸음 내딛으며 오른 앞서기 왼 안막기를 수행합니다.
태극 3장 3단락의 동작
1. 왼 아래(내려)막기
2. 오른 앞차기 + 두번 지르기
3. 오른 아래(내려)막기
4. 왼앞차기 + 두 번지르기
태극 3장 4단락의 동작
1. 왼 아래(내려)막기 +오른(몸통)지르기
2. 오른 아래(내려)막기 + 왼(몸통)지르기
3. 왼 앞차기 + 왼 아래(내려) 막기 + 오른 (몸통)지르기
4. 오른 앞차기 + 오른 아래(내려)막기 + 왼 (몸통)지르기
아래막기 후 호흡을 조절하며 왼 팔꿈치를 당기면서 오른 지르기 동작을 이어갑니다. 태극 3장의 마지막 동작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앞차기 후 그 탄력을 이용하여 다리를 접습니다. 이때 동시에 아래 막기를 준비해 줍니다. 그런 다음 아래 막기와 지르기를 빠르게 연결해주고 기합을 더해주면 됩니다.
활기와 밝음을 상징하는 태극 3장
태극 3장의 정신을 잊지 않으면서 조화로운 신체의 움직임과 민첩성을 기르는데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태극 3장의 경우, 초급단계의 마지막임에도 불구하고 일격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상단에 대한 방어 동작을 간과하여 얼굴 (올려)막기의 부재로 초급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중요 방어 부위를 빠트리는 실수가 있다고 봅니다.
또한 기본 발차기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순서인 앞차기 이후 돌려차기, 옆차기 순인 것에 비해 품새에서 볼 수 있는 발차기 순서는 1,2,3장의 앞차기 이후 4장의 옆차기가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품새에서 나타나는 발차기의 모습에서 미루어 볼 때 4장의 옆차기 이전에 3장에서 돌려차기가 나오지 않았을까 추측할 수 있습니다.
예측할 수 있는 돌려차기 출현 동작으로는 2단락 1번째 동작과 2번째 동작 사이에 앞발로 돌려차기를 시행, 3단락 2번째 동작에서 오른 앞차기 대신 돌려차기를 시행, 4단락 3, 4번째 동작에서 앞차기 대신 돌려차기를 시행하는 등의 형태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다만 3장에서 돌려차기가 없거나 혹은 없어지게 된 배경을 추측해보자면 첫째, 돌려차기의 사용은 대련(겨루기)에서 주로 이용된 것. 둘째, 초급단계에서 앞차기의 완성도를 높이고 1장, 2장, 3장의 흐름을 잇기 위해서 앞차기만 사용한 것. 넷째, 품새 형성 시기에는 돌려차기보다 옆차기가 좀 더 쉽게 사용되었을 것. 이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태권도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권도 겨루기 시 반격기술과 응용 발차기 (0) | 2021.12.16 |
---|---|
태권도 태극 1장부터 6장까지 설명 (0) | 2021.12.16 |
미래 태권도의 모습 (0) | 2021.12.16 |
미래사회에서 태권도가 가야할 방향 (0) | 2021.12.16 |
미래사회에서의 태권도가 가야할 방향(AR태권도)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