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태권도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래 태권도의 모습 과거의 태권도의 모습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변화과정을 볼 때 태권도라는 무도적 정신과 스포츠적 기술의 발전은 생각보다 크지않았다. 이것은 태권도 자체가 변화해야한다고 보기 어렵고 스스로 변화하기보다는 기대의 흐름에 맞게 유기적인 모습을 보였다. 가까운 미래사회에서도 태권도는 그 시대에 맞게 유기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어린 관원이 하기 쉬운 품새를 만들어 태권도에 대한 유입이 좀더 쉽게되고 어렵지않은 태권도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대회에서도 마찬가지로 ‘지루한 겨루기다’라는 평가를 떨쳐낼 수 있는 방법으로 태권도가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활용하여 대회의 평가를 기계체조와 같이 다양한 종목을 시연한 다음 점수로 채점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겨루기, 품새, 격파를 1인이 시연한 다음 총점을 매기.. 미래사회에서 태권도가 가야할 방향 미래 사회는 하루를 미디어로 시작해 미디어로 끝이 난다. 이미 그런 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로 유튜브를 꼽을 수 있다. 유튜브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면 각자가 흥미있어 할 만한 영상의 목록이 펼쳐져 있다. 모두 우리가 시청했던 영상이거나 ‘좋아요’를 눌렀던 영상을 바탕으로 어떤 영상에 관심이 있을지를 사용자 개개인의 성향에 맞추어 유튜브 알고리즘이 추천해 주는 것이다. 이 알고리즘은 점점 더 정확해져서 사용자가 특정 영상을 얼마나 보았는지, 몇 퍼센트 보았는지, ‘좋아요’를 누른 시점은 언제인지, 덧글은 달았는지, 덧글에 머문 시기는 얼마인지, 심지어 어떤 부분을 반복적으로 보았는지, 어떤 장면이 나올 때 영상을 껐는지까지 기억한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알고리즘은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