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예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교와 무예 고려시대는 무인시대였다. 무도나 무인이 가장 우세한 위치에 있었고 무사들은 많은 특권과 권력을 누렸었다. 하지만 양반관료제의 조선시대에 와서는 문치주의 하에 이루어진 유교교육의 강조로 군사학은 중요하게 취급되지 못했다. 조선의 통치자들은 명예의 소수독점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무신들이 관료의 지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치자로서의 명예를 나누어 주는데 인색하였다. 조선시대에 서반인 무신들은 동반인 문신들과 동렬을 이루며 양반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문신들은 무신들을 차별하여 무신들이 통치자로서의 명예를 갖는 것을 방해하였다. 이를 위해 문신들은 종2품 이상의 무반은 독자적 품계를 갖지 못하도록 해 고위급 무신들은 문반의 품계를 받아야 했다. 또한 무반의 최고 위직인 관직을 문신이 겸임 또는 겸대하..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