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노메달 (1)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태권도의 올림픽 성적 부진 원인 1. 엘리트 체육 시기 특징 문제 의식 대책 및 결과 제5공화국 관리부서를 문교부에서 체육부로 이관 ‘학력저하’, ‘특기자의 학교 내 이질 집단화 현상’, ‘대학 미진학 특기자의 사회부적응’ 등 1984년도 대입성적 분포에서 특기생의 67.34%가 40점 이하 선발 기준에서 학력기준치를 점차 상향조정 2001년까지 제도자체의 폐지 검토 제6공화국 체육청소년 장기종합계획(체육부, 1989) 경기기록과 실적 위주의 선발 및 배정 인기종목 중심 선발 학력저하 및 사회적응 미숙의 초래 진학 및 취업 등 사후 대책 미흡 학력지원 및 기본학력제(선발시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 의무화) 과학적 선발방식, 비인기종목(정책종목)에 대한 혜택 부여 1992년 3월 대입학력고사 40점 1997년도에 수능 60점 이상 국민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