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도 1차 고단자 승단심사 태권도 6단 논술 주제입니다.
본 주제로 논술을 직접 업로드 할 수는 없으나 쓰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우선 논술표지,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순으로 정리하여야 합니다.
서론에 들어가야 할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논제에 대하여 논술하려하는 범위
- 본론에 써내려갈 내용에 대한 정의를 해야합니다. 예를들어 '태권도 심사를 통한 수련의 동기부여 방안'에 대해서 논제에서 말하는 '태권도 심사'에 대한 범위를 승급심사(월 단위로 1개월 또는 2개월에 한번씩 도장에서 치뤄지는 심사) 또는 몇몇 도장에서 하고 있는 주심사(한주에 한번씩 하는 심사), 품/단이 올라가는 승품/단 심사 등 본론에서 말하고자 하는 심사의 정의를 내려 줍니다.
2. 용어 정리
- 같은 논제받더라도 써내려가는 사람의 환경에 따라 글의 방향이 달라집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논제에 대한 이해'에 대하여 써내려가면 됩니다. 이 내용을 토대로 본론에서 서술해야하기 때문에 본론을 쓰다가 서론을 많이 고쳐야 할 때가 있습니다. 서론에서 미리 내가 쓸 본론의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서론의 역할입니다.
3. 제한 사항
- 모든 논술과 논문 등 정보를 전달하는 글에서 가장 좋은 것이 바로 데이터입니다. 이번 6단 논술의 경우 '동기부여'라는 다소 추상적인 논제가 나왔으나, 일반적으로 정량적 수치를 써야한다면 정량적 수치를 도출하기까지의 제한 사항과 주의사항을 서론에서 전달하고 본론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예를들어 심사를 한달 앞둔 수련생의 연습량과 합격률의 그래프가 있다면 그 데이터값의 표본은 초등학생 저학년 50명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환경에 따른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고 명시하여야 합니다.
'태권도 사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권도의 가치 향상을 위한 지도자의 역할 (0) | 2022.01.22 |
---|---|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범의 역할과 방안(태권도 7단 논술) (0) | 2022.01.13 |
태권도 고단자 논술 시험(2022년도 1차) (0) | 2022.01.13 |
가까운 미래의 태권도 (0) | 2022.01.06 |
경기 겨루기 규칙의 시대별 변천 내용(2000년대까지) (0) | 2021.12.24 |